본문 바로가기
지대넓얕

아카데미 시상식 2016~2025년: 작품상, 감독상, 남녀주연상 계보

by savethe 2025. 3. 5.

아카데미 시상식의 흐름과 수상 계보

아카데미 시상식(오스카)은 영화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시상식 중 하나로, 매년 최고의 작품과 배우, 감독에게 영예를 안겨줍니다. 2016년부터 2025년까지의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수상자를 정리하고, 해당 연도의 주요 이슈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2016년 아카데미 수상 결과

  • 작품상: 스포트라이트 (Spotlight)
  • 감독상: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
  • 남우주연상: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레버넌트)
  • 여우주연상: 브리 라슨 (룸)

2016년 주요 이슈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마침내 오스카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해로, 전 세계 팬들이 환호했습니다.

2017년 아카데미 수상 결과

  • 작품상: 문라이트 (Moonlight)
  • 감독상: 다미엔 차젤 (라라랜드)
  • 남우주연상: 케이시 애플렉 (맨체스터 바이 더 씨)
  • 여우주연상: 엠마 스톤 (라라랜드)

2017년 주요 이슈

작품상 수상 발표 실수(문라이트 vs. 라라랜드 사건)로 아카데미 역사상 가장 큰 방송 사고 중 하나가 발생했습니다.

2018년 아카데미 수상 결과

  • 작품상: 쉐이프 오브 워터 (The Shape of Water)
  • 감독상: 기예르모 델 토로 (쉐이프 오브 워터)
  • 남우주연상: 게리 올드먼 (다키스트 아워)
  • 여우주연상: 프랜시스 맥도먼드 (쓰리 빌보드)

2018년 주요 이슈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이 몬스터 로맨스 영화로 작품상과 감독상을 수상하며 판타지 장르의 한계를 깼습니다.

2019년 아카데미 수상 결과

  • 작품상: 그린 북 (Green Book)
  • 감독상: 알폰소 쿠아론 (로마)
  • 남우주연상: 라미 말렉 (보헤미안 랩소디)
  • 여우주연상: 올리비아 콜맨 (더 페이버릿)

2019년 주요 이슈

"로마"가 넷플릭스 영화로서 감독상을 수상하며 스트리밍 플랫폼의 부상을 보여줬습니다.

2020년 아카데미 수상 결과

  • 작품상: 기생충 (Parasite)
  • 감독상: 봉준호 (기생충)
  • 남우주연상: 호아킨 피닉스 (조커)
  • 여우주연상: 르네 젤위거 (주디)

2020년 주요 이슈

한국 영화 "기생충"이 비영어권 최초로 작품상을 수상하며 전 세계적인 화제가 되었습니다.

2021년 아카데미 수상 결과

  • 작품상: 노매드랜드 (Nomadland)
  • 감독상: 클로이 자오 (노매드랜드)
  • 남우주연상: 앤서니 홉킨스 (더 파더)
  • 여우주연상: 프랜시스 맥도먼드 (노매드랜드)

2021년 주요 이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오스카 시상식이 소규모로 진행되었습니다.

2022년 아카데미 수상 결과

  • 작품상: 코다 (CODA)
  • 감독상: 제인 캠피온 (파워 오브 도그)
  • 남우주연상: 윌 스미스 (킹 리차드)
  • 여우주연상: 제시카 채스테인 (타미 페이의 눈)

2022년 주요 이슈

윌 스미스의 "뺨 때리기 사건"이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었습니다.

2023년 아카데미 수상 결과

  • 작품상: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 감독상: 다니엘스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 남우주연상: 브렌던 프레이저 (더 웨일)
  • 여우주연상: 미셸 여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2023년 주요 이슈

아시아계 배우인 미셸 여가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역사적인 기록을 세웠습니다.

2024년 아카데미 수상 결과

  • 작품상: 오펜하이머 (오펜하이머)
  • 감독상: 크리스토퍼 놀란 (오펜하이머)
  • 남우주연상: 킬리언 머피 (오펜하이머)
  • 여우주연상: 엠마 스톤 (Poor Things)

2024년 주요 이슈

크리스토퍼 놀란이 오랜 기다림 끝에 감독상을 수상하며 화제가 되었습니다.

2025년 아카데미 수상 결과

  • 작품상: 아노라 (아노라)
  • 감독상: 션 베이커 (아노라)
  • 남우주연상: 에드리언 브로 (아노라)
  • 여우주연상: 마이키 매디 (아노라)

2025년 주요 이슈

<아노라>의 독주 -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편집상, 그리고 여우주연상까지 후보로 오른 6개 부문 중 5개 부문에서 수상하는 이변을 연출했습니다.



결론

2016년부터 2025년까지의 아카데미 시상식은 다양한 장르와 감독, 배우들의 활약이 돋보인 시기였습니다. 특히, 비영어권 영화의 부상과 스트리밍 서비스의 영향력이 커졌으며, 역사적인 사건들도 많았습니다. 앞으로의 아카데미 시상식이 어떤 변화를 맞이할지 기대됩니다.